FIFA 여자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FA 여자 월드컵은 FIFA가 주관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1991년 중국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2003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대회는 32개 팀이 참가하며,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우승팀에게는 상금과 함께 개인상, 팀상이 수여된다. 미국이 4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2023년 대회에서 스페인이 첫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FA 여자 월드컵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캐나다에서 개최된 FIFA 여자 월드컵의 일곱 번째 대회이며, 미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첼리아 샤시치와 칼리 로이드가 득점왕을 기록했다. - FIFA 여자 월드컵 -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미국을 꺾고 우승하며 아시아 최초 우승이라는 역사를 썼지만, 도핑 및 성별 검사 논란도 있었던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19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여자 럭비 월드컵
여자 럭비 월드컵은 월드 럭비 주관의 최상위 여자 럭비 유니언 대회로, 199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개최 주기가 변경되어 현재는 홀수 해에 열리며, 뉴질랜드가 최다 우승국이다. - 19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CACAF W 챔피언십
CONCACAF W 챔피언십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관의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FIFA 여자 월드컵, 하계 올림픽, CONCACAF W 골드컵 예선을 겸하고, 미국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였다. - 4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4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FIFA 여자 월드컵 | |
---|---|
기본 정보 | |
이름 | FIFA 여자 월드컵 |
영어 | FIFA Women's World Cup |
주최 | FIFA |
창립 | 1991년 |
관련 대회 | FIFA U-20 여자 월드컵 FIFA U-17 여자 월드컵 FIFA 월드컵 |
참가 팀 수 | 32팀 |
현재 챔피언 | 스페인 (1회 우승) (2023년) |
최다 우승 팀 | 미국 (4회 우승) |
방송사 | 방송사 목록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다음 대회 | 2027년 FIFA 여자 월드컵 |
![]() | |
역대 대회 |
2. 역사
FIFA 회장 주앙 아벨란제의 주도로 시작된 FIFA 여자 월드컵은[54] 1991년 중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당시에는 'FIFA 여자 세계 선수권'이라는 명칭으로 12개 팀이 참가했으며, 미국이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39]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스웨덴에서 개최되었고, 노르웨이가 우승했다.[41]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은 미국에서 개최되었는데, 결승전에는 9만 명이 넘는 관중이 로즈 볼 경기장을 찾아 여자 축구 사상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56] 이 대회에서 미국 수비수 브랜디 채스테인은 중국과의 승부차기 승리 후 유니폼 상의를 벗어 흔드는 세레모니로 유명해졌다.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원래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확산으로 인해 미국으로 변경되었다.[57] 이에 대한 보상으로 중국은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권을 얻었다.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독일은 전 경기 무실점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일본이 아시아 국가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는 참가팀이 24개 팀으로 확대되었고,[37] 미국이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미국은 4번째 우승이자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공동 개최되었으며, 참가팀이 3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38] 스페인이 첫 우승을 차지했다.[46]
대회 | 연도 | 개최국 | 우승 국가 | 경기 결과 | 준우승 국가 |
---|---|---|---|---|---|
1 | 1991 | 중국 | 미국 | 2-1 | 노르웨이 |
2 | 1995 | 스웨덴 | 노르웨이 | 2-0 | 독일 |
3 | 1999 | 미국 | 미국 | 0-0 (승부차기 5-4) | 중국 |
4 | 2003 | 미국 | 독일 | 2-1 (연장전) | 스웨덴 |
5 | 2007 | 중국 | 독일 | 2-0 | 브라질 |
6 | 2011 | 독일 | 일본 | 2-2 (승부차기 3-1) | 미국 |
7 | 2015 | 캐나다 | 미국 | 5-2 | 일본 |
8 | 2019 | 프랑스 | 미국 | 2-0 | 네덜란드 |
9 | 2023 |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 스페인 | 1-0 | 잉글랜드 |
참가 팀들은 남자 대회와 마찬가지로 각 대륙별 지역 예선을 통해 선발된다. 각 대륙별 지역 예선은 유럽을 제외하고 각 대륙별 선수권 대회가 지역 예선을 겸한다. (단, 유럽도 초창기인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과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는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예선을 겸했다.)
3. 대회 운영 방식
대회는 4주 동안 진행된다. 조별 예선에서는 24개 팀을 6개 조로 나누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개막전에서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11-0으로 크게 이긴 뒤,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은 이러한 일방적인 경기가 "대회에 좋지 않다"고 언급하며 FIFA에서 참가팀을 24개 팀으로 확대할지 여부를 고려하기도 했다.[59]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과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는 12개 팀이,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는 16개 팀이 참가했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 24개 팀이 참가하고 있다.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각 조 상위 두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16강전에 진출한다. 16강전부터는 단일 토너먼트 방식의 단판 경기로 진행되며, 16강전 승리팀은 8강전, 8강전 승리팀은 준결승에 진출하여 결승 진출팀을 가린다. 준결승전 패배 팀은 3·4위전을 치른다.
3. 1. 예선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은 FIFA 6개 대륙 연맹별로 진행된다. 각 대륙 연맹은 자체적인 예선 방식을 통해 본선 진출팀을 결정한다. 유럽 축구 연맹(UEFA)을 제외한 나머지 대륙 연맹은 대륙별 선수권 대회를 예선으로 활용한다.
유럽 축구 연맹(UEFA)은 별도의 예선을 진행한다.[1]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본선 진출팀이 결정된다.
3. 2. 본선
본선 대회는 4주 동안 진행된다. 조별 예선에서는 24개 팀을 6개 조로 나누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개막전에서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11-0으로 크게 이긴 뒤,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은 이러한 일방적인 경기가 "대회에 좋지 않다"고 언급하며 FIFA에서 참가팀을 24개 팀으로 확대할지 여부를 고려하기도 했다.[59]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과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는 12개 팀이 참가했고,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는 16개 팀이 참가했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부터 24개 팀이 참가하고 있다.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각 조 상위 두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16강전에 진출한다. 16강전부터는 단일 토너먼트 방식의 단판 경기로 진행되며, 16강전 승리팀은 8강전, 8강전 승리팀은 준결승에 진출하여 결승 진출팀을 가린다. 준결승전 패배 팀은 3·4위전을 치른다.
결선 토너먼트는 개최국에서 약 한 달 동안 12개에서 32개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진행되며,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녹아웃) 단계로 구성된다.[2]
조별 리그는 각 4팀씩 한 조로 편성되어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팀은 같은 조의 다른 팀들과 세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마지막 라운드는 모든 팀에게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같은 시간에 진행된다. 2015년 24개 팀 형식에서는 각 조 1, 2위 팀과 3위 팀 중 상위 4팀이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승점을 사용하여 조 내 순위를 결정하며, 1994년 FIFA 월드컵 이후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진다 (이전에는 승리팀에 2점 부여).
각 조 순위 결정 방식:[2]
# 조별 경기에서 가장 많은 승점
# 조별 경기에서 가장 큰 골 득실차
# 조별 경기에서 가장 많은 득점
# 위의 기준 적용 후에도 2개 이상 팀이 동률인 경우:
## 해당 팀 간 맞대결에서 가장 많은 승점
## 해당 팀 간 맞대결에서 가장 큰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 맞대결에서 가장 많은 득점
# 위의 기준 적용 후에도 동률인 경우, 추첨으로 순위 결정
토너먼트(녹아웃) 단계는 단일 토너먼트 방식으로, 각 팀은 단판 경기를 치르며, 필요한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한다.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준결승 패자 간 경기), 결승전 순서로 진행된다.[2]
4. 역대 대회 결과
FIFA 여자 월드컵은 1991년 초대 대회 이후 4년마다 개최되며, 대회 규모는 점차 확대되어 왔다. 처음에는 12개 팀이 참가했으나, 2023년 대회부터는 3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36][37][38]
FIFA 회장 주앙 아벨란제의 제안으로 시작된[54] 이 대회는, 1991년 중국에서 첫 대회가 열렸고, 미국이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39] 1999년 대회까지는 'FIFA 여자 세계 선수권'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2003년 대회부터 현재의 명칭인 'FIFA 여자 월드컵'으로 변경되었다.
미국은 1991년, 1999년, 2015년, 2019년 대회에서 우승하며 총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독일은 2003년, 2007년 대회에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노르웨이(1995년), 일본(2011년), 스페인(2023년)이 각각 1회 우승을 기록했다.
1999년 미국 대회 결승전에서는 90,185명의 관중이 로즈 볼 경기장을 가득 메워 여자 축구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56] 또한, 미국 수비수 브랜디 채스테인의 상의 탈의 세레모니는 큰 화제를 모았다.[56]
2003년 대회는 원래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의 유행으로 인해 미국으로 개최지가 변경되었다.[57] 이에 대한 보상으로 중국은 2007년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2011년 독일 대회에서는 일본이 아시아 국가 최초로 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2015년 캐나다 대회부터 참가국이 24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37] 미국이 통산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19년 프랑스 대회에서는 미국이 2연패를 달성하며 최다 우승국 지위를 굳건히 했다.
2023년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공동 개최되었으며, 참가국이 32개국으로 확대되었다.[38] 스페인이 잉글랜드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하며, 독일에 이어 남녀 월드컵을 모두 우승한 두 번째 국가가 되었다.[46]
역대 FIFA 여자 월드컵의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1991년부터 2023년 대회까지,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승점이 같을 경우 골득실, 다득점 순)
순위 | 국가 | 승점 | 진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최고 순위 |
---|---|---|---|---|---|---|---|---|---|---|---|
1 | 미국 | 132 | 9 | 54 | 41 | 9 | 4 | 142 | 39 | +103 | 우승 (4) |
2 | 독일 | 99 | 9 | 47 | 31 | 6 | 10 | 129 | 42 | +87 | 우승 (2) |
3 | 스웨덴 | 90 | 9 | 47 | 28 | 6 | 13 | 85 | 53 | +32 | 준우승 |
4 | 노르웨이 | 80 | 9 | 44 | 25 | 5 | 14 | 100 | 56 | +44 | 우승 (1) |
5 | 브라질 | 66 | 9 | 37 | 20 | 6 | 11 | 71 | 42 | +29 | 준우승 |
6 | 잉글랜드 | 65 | 6 | 33 | 20 | 5 | 8 | 56 | 36 | +20 | 준우승 |
7 | 중국 | 58 | 8 | 36 | 17 | 7 | 12 | 55 | 39 | +16 | 준우승 |
8 | 일본 | 58 | 9 | 38 | 18 | 4 | 16 | 54 | 62 | -8 | 우승 (1) |
9 | 프랑스 | 44 | 5 | 24 | 13 | 5 | 6 | 44 | 24 | +20 | 4위 |
10 | 호주 | 37 | 8 | 33 | 10 | 7 | 16 | 48 | 58 | -10 | 4위 |
11 | 캐나다 | 33 | 8 | 30 | 9 | 6 | 15 | 36 | 57 | -21 | 4위 |
12 | 네덜란드 | 32 | 3 | 16 | 10 | 2 | 4 | 26 | 13 | +13 | 준우승 |
13 | 스페인 | 23 | 3 | 14 | 7 | 2 | 5 | 29 | 15 | +14 | 우승 (1) |
14 | 이탈리아 | 22 | 4 | 15 | 7 | 1 | 7 | 23 | 20 | +3 | 8강 |
15 | 나이지리아 | 21 | 9 | 30 | 5 | 6 | 19 | 23 | 65 | -42 | 8강 |
16 | 덴마크 | 16 | 5 | 18 | 5 | 1 | 12 | 22 | 29 | -7 | 8강 |
17 | 콜롬비아 | 14 | 3 | 12 | 4 | 2 | 6 | 10 | 13 | -3 | 8강 |
18 | 러시아 | 12 | 2 | 8 | 4 | 0 | 4 | 16 | 14 | +2 | 8강 |
19 | 북한 | 11 | 4 | 13 | 3 | 2 | 8 | 12 | 20 | -8 | 8강 |
20 | 카메룬 | 9 | 2 | 8 | 3 | 0 | 5 | 12 | 12 | 0 | 16강 |
21 | 스위스 | 8 | 2 | 8 | 2 | 2 | 4 | 14 | 10 | +4 | 16강 |
22 | 뉴질랜드 | 7 | 6 | 18 | 1 | 4 | 13 | 9 | 35 | -26 | 조별리그 |
23 | 모로코 | 6 | 1 | 4 | 2 | 0 | 2 | 2 | 10 | -8 | 16강 |
24 | 자메이카 | 5 | 2 | 7 | 1 | 2 | 4 | 2 | 13 | -11 | 16강 |
25 | 대한민국 | 5 | 4 | 13 | 1 | 2 | 10 | 7 | 31 | -24 | 16강 |
26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 2 | 7 | 1 | 1 | 5 | 7 | 16 | -9 | 16강 |
27 | 가나 | 4 | 3 | 9 | 1 | 1 | 7 | 6 | 30 | -24 | 조별리그 |
28 | 포르투갈 | 3 | 1 | 3 | 1 | 1 | 1 | 2 | 1 | +1 | 조별리그 |
29 | 칠레 | 3 | 1 | 3 | 1 | 0 | 2 | 2 | 5 | -3 | 조별리그 |
30 | 필리핀 | 3 | 1 | 3 | 1 | 0 | 2 | 1 | 8 | -7 | 조별리그 |
31 | 잠비아 | 3 | 1 | 3 | 1 | 0 | 2 | 3 | 11 | -8 | 조별리그 |
32 | 중화 타이베이 | 3 | 1 | 4 | 1 | 0 | 3 | 2 | 15 | -13 | 조별리그 |
33 | 태국 | 3 | 2 | 6 | 1 | 0 | 5 | 4 | 30 | -26 | 조별리그 |
34 | 멕시코 | 3 | 3 | 9 | 0 | 3 | 6 | 6 | 30 | -24 | 조별리그 |
35 | 아르헨티나 | 3 | 4 | 12 | 0 | 3 | 9 | 7 | 42 | -35 | 조별리그 |
36 | 코스타리카 | 2 | 2 | 6 | 0 | 2 | 4 | 4 | 12 | -8 | 조별리그 |
37 | 스코틀랜드 | 1 | 1 | 3 | 0 | 1 | 2 | 5 | 7 | -2 | 조별리그 |
38 | 아일랜드 | 1 | 1 | 3 | 0 | 1 | 2 | 1 | 3 | -2 | 조별리그 |
39 | 아이티 | 0 | 1 | 3 | 0 | 0 | 3 | 0 | 4 | -4 | 조별리그 |
40 | 적도 기니 | 0 | 1 | 3 | 0 | 0 | 3 | 2 | 7 | -5 | 조별리그 |
41 | 파나마 | 0 | 1 | 3 | 0 | 0 | 3 | 3 | 11 | -8 | 조별리그 |
42 | 베트남 | 0 | 1 | 3 | 0 | 0 | 3 | 0 | 12 | -12 | 조별리그 |
43 | 코트디부아르 | 0 | 1 | 3 | 0 | 0 | 3 | 3 | 16 | -13 | 조별리그 |
44 | 에콰도르 | 0 | 1 | 3 | 0 | 0 | 3 | 1 | 17 | -16 | 조별리그 |
4. 1. 역대 결승전 & 3·4위 결정전
(승부차기 5 - 4)(승부차기 5 - 4)
(승부차기 3 - 1)
뉴질랜드